UN기념공원
관련링크
본문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년 1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을 시작해
같은 해 4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전국 각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를 모아 안장하였다.
전후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이곳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 12월 15일, 한국 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함에 따라
1959년 11월 유엔과 대한민국간에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간의 협정” 이 체결됨으로써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같은 해 4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전국 각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를 모아 안장하였다.
전후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이곳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 12월 15일, 한국 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함에 따라
1959년 11월 유엔과 대한민국간에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간의 협정” 이 체결됨으로써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